• 최종편집 2024-03-27(목)

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인간의식 검색결과

  • 솜털 누비옷·새알 동지팥죽·연탄불…“아 추운 겨울이 가네”
    우리 조상들은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인 동지에 팥죽을 끓여먹었다. <사진=한국문화원연합회>   [세계미래신문=장영권 대표기자] 칼바람에 온몸을 꽁꽁 여미게 되는 한겨울이다. 요즘 젊은이들은 롱패딩 없이 겨울을 나는 것을 상상하지 못한다. 우리 조상들은 혹한기 겨울을 어떻게 보냈을까? 조상들의 따뜻한 겨울나기 풍속과 지혜가 담긴 한국전통문화가 소개 되었다.   전국 231개 지방문화원의 연합 단체인 한국문화원연합회는 지역N문화 사이트를 통해 조상의 지혜가 담긴 겨울철 의식주 문화에 대해 소개한다고 12월 20일 밝혔다. 지역N문화 사이트에서 조상의 지혜가 담긴 따뜻한 겨울나기와 관련한 많은 자료를 만나볼 수 있으며, 해당 콘텐츠는 지역N문화 사이트 내 지역문화 포스트에서 찾아볼 수 있다. 몇몇 조상들의 따뜻한 겨울나기 풍속과 지혜를 살펴본다.   ◇누비옷=먼저 눈길을 끄는 것은 옛날 우리 조상들이 한겨울 추위를 막기 위해 입고 다녔다는 ‘누비옷’이다. 누비는 기워서 보수한 옷인 납의(衲衣)에서 그 어원이 유래했다. 누비는 보강과 보온을 위해 옷감의 겉감과 안감 사이에 솜, 털, 닥종이 등을 넣거나 또는 아무것도 넣지 않고 안팎을 줄지어 규칙적으로 홈질하여 맞붙이는 바느질 방법이다.   승려들이 일상복 혹은 수행복으로 입던 헤진 옷이 누비 기법으로 인해 방한과 내구성, 실용성이 좋아지자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 우리나라의 전통 손누비는 세계 유일한 재봉법으로 그 정교함과 작품성이 자수를 능가하는 예술품으로 평가받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시간이 많이 걸리고 상품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사라지고, 1996년 무형문화재로 지정해서 보전하고 있다.   ◇동지팥죽=누비옷으로 겨울의 한기를 잘 막아낸다 해도, 속이 허전하면 더 추운 법이다.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인 동지(冬至)에 우리 조상들은 팥죽을 끓여먹었다. 동지는 음성인 귀신이 성하는 날이어서 양(陽)의 기운이 왕성한 붉은 팥죽이 귀신을 물리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동지가 지나면 다시 낮이 길어지기 때문에 우리 조상들은 동지를 새로운 기운이 싹트기 시작하는 경사스러운 날로 인식했다. 그래서 동지팥죽에는 찹쌀로 빚은 새알심을 나이 수만큼 넣어 먹으며 새해에 건강하고 액을 면할 수 있기를 정성스럽게 기원했다.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라는 말이 여기서 유래되었다.   1950년대 연탄은 중요한 가정 연료로 서민뿐만 아니라 모든 대중들과 애환을 함께 나눈 생필품이었다. <사진=한국문화원연합회>   ◇22공연탄=옷이 따뜻하고, 배가 불러도 방바닥이 차가우면 긴 겨울밤 쉬이 잠들 수 없다. 우리나라 서민 생활에서 가장 흔한 난방에너지를 꼽으라면 연탄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연탄은 서민뿐만 아니라 모든 대중들과 애환을 함께 나눈 생필품이었다. 1950년대 연탄은 나무 장작을 대신하는 중요한 가정 연료가 되었다.   연탄은 16공탄, 19공탄, 22공탄, 25공탄, 31공탄, 49공탄 등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제작되었는데 구멍이 많을수록 연탄이 컸다. 이 중 가장 많이 쓰인 것은 22공탄이다. 연탄 준비는 김장과 더불어 월동 준비 제1호로 꼽혔다. 금방 찍어 나온 젖은 연탄은 가스 발생이 많기 때문에 가을이 되면 월동 준비로 미리 연탄을 받아들였다.   연탄을 나르는 일에는 가족들이 모두 매달렸고, 실수로 깨어진 연탄은 한 장이라도 버리지 않고 마당 앞에 따로 잘 보관을 했다가 연탄 만드는 일꾼을 불렀다. 사택 골목의 깨진 연탄 무더기, 새알심이 들어간 따뜻한 팥죽 한 그릇, 그리고 정성이 담겨 더욱 두터운 누비옷은 우리의 겨울 풍경이었다.   이 밖에도 지역N문화(www.nculture.org) 사이트에서 3000여건의 지역문화콘텐츠 열람과 지방문화원이 보유한 136만건의 자료를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 중 4만건은 전자화하여 내용을 열람할 수 있으며, 전자지도를 통해 지역 단위로 문화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 인간의식
    • 문화
    2019-12-21

국가안보 검색결과

  • 솜털 누비옷·새알 동지팥죽·연탄불…“아 추운 겨울이 가네”
    우리 조상들은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인 동지에 팥죽을 끓여먹었다. <사진=한국문화원연합회>   [세계미래신문=장영권 대표기자] 칼바람에 온몸을 꽁꽁 여미게 되는 한겨울이다. 요즘 젊은이들은 롱패딩 없이 겨울을 나는 것을 상상하지 못한다. 우리 조상들은 혹한기 겨울을 어떻게 보냈을까? 조상들의 따뜻한 겨울나기 풍속과 지혜가 담긴 한국전통문화가 소개 되었다.   전국 231개 지방문화원의 연합 단체인 한국문화원연합회는 지역N문화 사이트를 통해 조상의 지혜가 담긴 겨울철 의식주 문화에 대해 소개한다고 12월 20일 밝혔다. 지역N문화 사이트에서 조상의 지혜가 담긴 따뜻한 겨울나기와 관련한 많은 자료를 만나볼 수 있으며, 해당 콘텐츠는 지역N문화 사이트 내 지역문화 포스트에서 찾아볼 수 있다. 몇몇 조상들의 따뜻한 겨울나기 풍속과 지혜를 살펴본다.   ◇누비옷=먼저 눈길을 끄는 것은 옛날 우리 조상들이 한겨울 추위를 막기 위해 입고 다녔다는 ‘누비옷’이다. 누비는 기워서 보수한 옷인 납의(衲衣)에서 그 어원이 유래했다. 누비는 보강과 보온을 위해 옷감의 겉감과 안감 사이에 솜, 털, 닥종이 등을 넣거나 또는 아무것도 넣지 않고 안팎을 줄지어 규칙적으로 홈질하여 맞붙이는 바느질 방법이다.   승려들이 일상복 혹은 수행복으로 입던 헤진 옷이 누비 기법으로 인해 방한과 내구성, 실용성이 좋아지자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 우리나라의 전통 손누비는 세계 유일한 재봉법으로 그 정교함과 작품성이 자수를 능가하는 예술품으로 평가받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시간이 많이 걸리고 상품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사라지고, 1996년 무형문화재로 지정해서 보전하고 있다.   ◇동지팥죽=누비옷으로 겨울의 한기를 잘 막아낸다 해도, 속이 허전하면 더 추운 법이다.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인 동지(冬至)에 우리 조상들은 팥죽을 끓여먹었다. 동지는 음성인 귀신이 성하는 날이어서 양(陽)의 기운이 왕성한 붉은 팥죽이 귀신을 물리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동지가 지나면 다시 낮이 길어지기 때문에 우리 조상들은 동지를 새로운 기운이 싹트기 시작하는 경사스러운 날로 인식했다. 그래서 동지팥죽에는 찹쌀로 빚은 새알심을 나이 수만큼 넣어 먹으며 새해에 건강하고 액을 면할 수 있기를 정성스럽게 기원했다.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라는 말이 여기서 유래되었다.   1950년대 연탄은 중요한 가정 연료로 서민뿐만 아니라 모든 대중들과 애환을 함께 나눈 생필품이었다. <사진=한국문화원연합회>   ◇22공연탄=옷이 따뜻하고, 배가 불러도 방바닥이 차가우면 긴 겨울밤 쉬이 잠들 수 없다. 우리나라 서민 생활에서 가장 흔한 난방에너지를 꼽으라면 연탄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연탄은 서민뿐만 아니라 모든 대중들과 애환을 함께 나눈 생필품이었다. 1950년대 연탄은 나무 장작을 대신하는 중요한 가정 연료가 되었다.   연탄은 16공탄, 19공탄, 22공탄, 25공탄, 31공탄, 49공탄 등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제작되었는데 구멍이 많을수록 연탄이 컸다. 이 중 가장 많이 쓰인 것은 22공탄이다. 연탄 준비는 김장과 더불어 월동 준비 제1호로 꼽혔다. 금방 찍어 나온 젖은 연탄은 가스 발생이 많기 때문에 가을이 되면 월동 준비로 미리 연탄을 받아들였다.   연탄을 나르는 일에는 가족들이 모두 매달렸고, 실수로 깨어진 연탄은 한 장이라도 버리지 않고 마당 앞에 따로 잘 보관을 했다가 연탄 만드는 일꾼을 불렀다. 사택 골목의 깨진 연탄 무더기, 새알심이 들어간 따뜻한 팥죽 한 그릇, 그리고 정성이 담겨 더욱 두터운 누비옷은 우리의 겨울 풍경이었다.   이 밖에도 지역N문화(www.nculture.org) 사이트에서 3000여건의 지역문화콘텐츠 열람과 지방문화원이 보유한 136만건의 자료를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 중 4만건은 전자화하여 내용을 열람할 수 있으며, 전자지도를 통해 지역 단위로 문화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 인간의식
    • 문화
    2019-12-21

미래전략 검색결과

  • 솜털 누비옷·새알 동지팥죽·연탄불…“아 추운 겨울이 가네”
    우리 조상들은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인 동지에 팥죽을 끓여먹었다. <사진=한국문화원연합회>   [세계미래신문=장영권 대표기자] 칼바람에 온몸을 꽁꽁 여미게 되는 한겨울이다. 요즘 젊은이들은 롱패딩 없이 겨울을 나는 것을 상상하지 못한다. 우리 조상들은 혹한기 겨울을 어떻게 보냈을까? 조상들의 따뜻한 겨울나기 풍속과 지혜가 담긴 한국전통문화가 소개 되었다.   전국 231개 지방문화원의 연합 단체인 한국문화원연합회는 지역N문화 사이트를 통해 조상의 지혜가 담긴 겨울철 의식주 문화에 대해 소개한다고 12월 20일 밝혔다. 지역N문화 사이트에서 조상의 지혜가 담긴 따뜻한 겨울나기와 관련한 많은 자료를 만나볼 수 있으며, 해당 콘텐츠는 지역N문화 사이트 내 지역문화 포스트에서 찾아볼 수 있다. 몇몇 조상들의 따뜻한 겨울나기 풍속과 지혜를 살펴본다.   ◇누비옷=먼저 눈길을 끄는 것은 옛날 우리 조상들이 한겨울 추위를 막기 위해 입고 다녔다는 ‘누비옷’이다. 누비는 기워서 보수한 옷인 납의(衲衣)에서 그 어원이 유래했다. 누비는 보강과 보온을 위해 옷감의 겉감과 안감 사이에 솜, 털, 닥종이 등을 넣거나 또는 아무것도 넣지 않고 안팎을 줄지어 규칙적으로 홈질하여 맞붙이는 바느질 방법이다.   승려들이 일상복 혹은 수행복으로 입던 헤진 옷이 누비 기법으로 인해 방한과 내구성, 실용성이 좋아지자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 우리나라의 전통 손누비는 세계 유일한 재봉법으로 그 정교함과 작품성이 자수를 능가하는 예술품으로 평가받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시간이 많이 걸리고 상품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사라지고, 1996년 무형문화재로 지정해서 보전하고 있다.   ◇동지팥죽=누비옷으로 겨울의 한기를 잘 막아낸다 해도, 속이 허전하면 더 추운 법이다.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인 동지(冬至)에 우리 조상들은 팥죽을 끓여먹었다. 동지는 음성인 귀신이 성하는 날이어서 양(陽)의 기운이 왕성한 붉은 팥죽이 귀신을 물리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동지가 지나면 다시 낮이 길어지기 때문에 우리 조상들은 동지를 새로운 기운이 싹트기 시작하는 경사스러운 날로 인식했다. 그래서 동지팥죽에는 찹쌀로 빚은 새알심을 나이 수만큼 넣어 먹으며 새해에 건강하고 액을 면할 수 있기를 정성스럽게 기원했다.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라는 말이 여기서 유래되었다.   1950년대 연탄은 중요한 가정 연료로 서민뿐만 아니라 모든 대중들과 애환을 함께 나눈 생필품이었다. <사진=한국문화원연합회>   ◇22공연탄=옷이 따뜻하고, 배가 불러도 방바닥이 차가우면 긴 겨울밤 쉬이 잠들 수 없다. 우리나라 서민 생활에서 가장 흔한 난방에너지를 꼽으라면 연탄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연탄은 서민뿐만 아니라 모든 대중들과 애환을 함께 나눈 생필품이었다. 1950년대 연탄은 나무 장작을 대신하는 중요한 가정 연료가 되었다.   연탄은 16공탄, 19공탄, 22공탄, 25공탄, 31공탄, 49공탄 등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제작되었는데 구멍이 많을수록 연탄이 컸다. 이 중 가장 많이 쓰인 것은 22공탄이다. 연탄 준비는 김장과 더불어 월동 준비 제1호로 꼽혔다. 금방 찍어 나온 젖은 연탄은 가스 발생이 많기 때문에 가을이 되면 월동 준비로 미리 연탄을 받아들였다.   연탄을 나르는 일에는 가족들이 모두 매달렸고, 실수로 깨어진 연탄은 한 장이라도 버리지 않고 마당 앞에 따로 잘 보관을 했다가 연탄 만드는 일꾼을 불렀다. 사택 골목의 깨진 연탄 무더기, 새알심이 들어간 따뜻한 팥죽 한 그릇, 그리고 정성이 담겨 더욱 두터운 누비옷은 우리의 겨울 풍경이었다.   이 밖에도 지역N문화(www.nculture.org) 사이트에서 3000여건의 지역문화콘텐츠 열람과 지방문화원이 보유한 136만건의 자료를 조회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 중 4만건은 전자화하여 내용을 열람할 수 있으며, 전자지도를 통해 지역 단위로 문화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 인간의식
    • 문화
    2019-12-21
비밀번호 :